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브레게 730

덤프버전 :

파일:Breguet 730.jpg
브레게 730(Breguet 730)

1. 개요
2. 제원
3. 개발
4. 운용
5. 파생형



1. 개요[편집]


1930년대에 프랑스 해군이 요구에 응해 브레게 아비아시옹(Breguet Aviation) 사에서 개발, 제작된 비행정이었으나, 생산 승인이 떨어지고 얼마 지나지 않은 1940년 6월에 독일이 침공해 항복해버려 시제기 이외에 배치된 기체는 없었다. 브레게 공장에서 제작되고 있던 4대의 미완성 기체는 2차 대전 내내 방치되어 있다가 전쟁이 끝난 후에 완성되었으며 1954년까지 프랑스 해군에서 운용하게 된다.


2. 제원[편집]


초도 비행 : 1938년 4월 4일
승무원 : 10명
전장 : 24.38 m / 전폭 : 40.37 m / 전고 : 8.60 m / 익면적 : 173.1 m2
중량 : 16,134 kg ~ 28,660 kg
동력 : Gnome-Rhône 14N-44/45 공랭 14기통 엔진(1,120 hp) 4기
최대속도 : 330 km/h / 순항속도 : 230 km/h
항속거리 : 6,923 km
실용상승한도 : 6,000 m
상승률 : 3,000 m까지 9분


3. 개발 [편집]


1935년 5월에 프랑스 해군은 발표된 지 2년 밖에 지나지 않았으나 이미 시대에 뒤쳐지고 있던 복엽 비행정인 브레게 521 비제르테(Breguet 521 Bizerte)를 대체하는 새로운 장거리 비행정에 관한 소요를 제기했고, 이듬해에 정식으로 요구 사양을 발표했다. 차세대 비행정 사업에는 라테코에르 611(Latécoère 611)과 리오레 올리비에 440(LeO H-440), 그리고 포테즈-CAMS 141과 브레게가 응모했고 이중에서 LeO 사는 중도에서 포기하는 한편 나머지 메이커들은 1척씩 시제 비행정을 제작했다. 세 후보 기종은 모두 4발 엔진과 쌍수직미익을 갖춘 대형 비행정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었다.

그중에서 브레게 사는 4기의 놈-론 14(Gnome-Rhône 14N) 공랭식 엔진을 탑재시켜 첫 번째 프로토타입 Br.730-01을 완성했고, 1938년 4월 4일에 르아브르(Le Havre) 항구에서 이륙하여 처녀 비행을 선보였다. 이어진 시험 비행에서 양호한 성능을 보여준 Br. 730은 7월 16일에 시험 비행을 마치고 착수하는 과정에서 선착장의 설비에 부딛혀 선체가 파손되는 사고를 겪게 된다.

사고의 원인은 키가 제대로 듣지 않아서였는데, 이로 인하여 수상 항행에서 조작성에 얼마간의 문제가 있다는 비난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성능은 나무랄 데가 없었기 때문에 의뢰처인 프랑스 해군은 4대의 양산형을 주문했고, 이어서 1939년 9월에 2차 대전이 발발하자 발주수를 더하게 된다. 그러나 1940년의 시점에서 그다지 하릴없던 해상 초계기 보다는 일선의 전투기가 더 다급해지자 제작에 매달려 있던 직원들을 전투기 생산라인으로 돌려 생산에 제동이 걸렸고 이로 인해 실전 배치는 늦춰지게 된다.



4. 운용[편집]


1940년 6월 22일에 프랑스가 항복했다. 브레게 730은 원형기 외에는 그때까지 완성된 양산기는 없었고, 점령군인 독일군에 의해 모든 항공기의 생산은 전부 중지되었다. 새로 들어선 비시 정부로 인하여 일전의 사고에서 부서진 시제기의 날개를 떼어다 생산 1호기인 Br. 730 No.1의 선체를 합쳐 완성시키자 마침내 비행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이조차 독일 점령군의 간섭으로 인하여 더 이상의 시험 비행은 중단되었다.

독일 점령 치하에서 남아있던 11대 분량의 부품을 모아 조립하는 작업은 매우 느리게나마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처럼 힘들게 완성시킨 기체들을 수면 위에 진수했다가 1944년 4월 6일에 연합군 공습부대가 폭격을 가하고 기총소사를 퍼부어 8척이 파괴되었다. 독일군이 프랑스 남부에서 철수한 후인 1944년 12월에 Br.730 No.1이 드디어 진수식을 올릴 수 있었다. Véga라고 명명된 이 비행정은 곧바로 프랑스 해군에 전달되었고, 1945년 봄부터 장거리 수송임무를 띠고 사용되었다. 2번째 기체인 Br.730 시리우스(Sirius)는 전쟁이 끝난 후인 1946년 5월에야 완성을 볼 수 있었다.

남은 2척인 알테어(Altair)와 벨라트릭스(Bellatrix)는 기수의 구조를 변경하고 비행할 때 항력을 줄여줄 신형 플로트와 더 높은 출력을 내는 엔진을 장착시켜 파생형인 Br.731로 완성되었다. 1호기인 Véga는 1949년 1월에 추락사고로 손상된 후 방치되었고, 2호기는 1951년에 대파되었다. 마지막 기체 두 척인 Br.731은 1954년 1월 20일에야 프랑스 해군에서 퇴역하게 된다.


5. 파생형[편집]


  • Br.730-01 : 출력 1,010 hp의 Gnome-Rhône 14N 2/3 엔진을 가진 프로토타입.
  • Br.730 : 출력 1,120 hp의 Gnome-Rhône 14N 44/45 엔진을 탑재한 양산형으로 2척 생산.
  • Br.731 : 출력 1,350 hp의 Gnome-Rhône 14R 200/201 엔진을 장착하고 기수와 플로트를 개조한 형식으로 2척 생산.

제2차 세계 대전의 프랑스군 항공병기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 펼치기 · 접기 ]

전투기복엽기R.90, S.510
단엽기C.714, D.371, D.500, D.520, MB.150, M.S.225, M.S.406, VG.33, 르와르 46, 르와르 210, NiD 52, NiD 62, NiD-120, 아스날-델란 10* NC.900A
중전투기VB 10* 포테즈 630*^
폭격기MB.131, MB.170, MB.200, MB.210, 아미오 143, 아미오 354, DB-7, 브레게 410, 브레게 460, 브레게 693, 브레게 482*, 브레게-비제르테, F.211, F.220, 라테코에르 570*, LeO 45, LN.401, 포테즈 540, MB.135, A-20 보스턴F, A-24 돈틀리스F, 핸들리 페이지 핼리팩스F, B-25F, 브리스톨 블렌헤임F, SNCAO 700*
뇌격기D.750*, 라테코에르 290, 라테코에르 298, F.270*, SNCAO CAO.600*
수송기MB.120, MB.220, FBA 290, 포테즈 650, C-45F, 수르-외스트 브르타뉴A
정찰기ANF 레뮈로 113, 브레게 521, 브레게 730, GL-832 HY, Latécoère 611*, 르와르 70, 르와르 130, 르와르 501, Loire-Nieuport 10*, 포테즈 452, Dewoitine HD.730*
훈련기C.690, 파르망 NC.470, H.230, MS.130, MS.230, MS.315, 몰랑-소르니에 바노, R.82, SCAN 20, SNCAC 마흐티네
실험기프랑스/기타 항공기
랜드리스 전투기Yak-3F, 슈퍼마린 스핏파이어F, P-63 킹코브라F, F6F 헬캣F, F4U 콜세어F, 벌티 벤젠스F, P-47 썬더볼트F 호커 템페스트F, F8F 베어캣F/A
*:프로토타입, ^:함재기, 윗첨자F: 자유 프랑스군/랜드리스 기체, 윗첨자A: 전후 완공/제공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9:25:33에 나무위키 브레게 73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